본문 바로가기

커리어일반

(15)
백엔드 개발자 역량관리 방식 (1) : 면접질문 일문일답 정리 [일문일답 정리배경]  어떤 개념에 대해서  함축적으로 설명할 수 있어야 개념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맥락에서 면접에서 빈출되는 질문을 대상으로 3문장 이내로 답변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백엔드 개발에서 CS 및 구현에 대해서 빈출되는 면접 질문을 모으고 그에 대해서 답변을 정리해나가는 것을 나의 공부방식으로 채택하겠다.    이를 통해서 나의 개념적 이해 성취도를 가시화하고 시장에서 경쟁력을 유지하고자 한다. [현재 진척상황] [첨부파일의 일부 답변예시] 분류질문답변관련내용정리웹Restful API 설계란?Representational State Transefer로 자원의 '표현에 의한 상태전달'이라는 웹 내에서 리소스 접근방식 설계원칙. 플랫폼 독립적으로 설계되며,  1..
개발취업 관련 조언정리 전필*님 (게임개발)내가 원하는 회사뿐만아니라 다양한 회사를 지원해서 면접경험을 쌓는 것이 꽤 중요하다인터넷 상에서 남들이 하는 부정적인 이야기에 휩쓸리지 말아라, 어차피 본인이 판단해서 될 것은 된다눈을 너무 낮추지말고 시간이 걸리더라도 규모가 크고, 성장할 수 있는 곳으로 가라IT에서는 채용공고보다도 인적네트워크를 통해서 추천을 받고 면접을 보는 곳이 많다주니어라면 사수가 있는 곳을 가라회사를 판단하는 조건은 개발자를 대하는 문화, 면접때의 회사에 대한 인상, 내가 하게될 일이 어떤 일인지에 대해서 탐색한 후에 결정하는 방법 박재*님 (클라우드 엔지니어)채용공고에서 필요한 조건을 위주로 준비를 하고 이를 프로젝트에 녹여내는 것이 가장 빠른 길이다얼마나 바닥에서 시작하던간에 올라가고자하는 마음가짐이 있..
개발자로서 개인의 강점 1. 기술의 발전에 크게 관심이 있고 사용해보는 것을 좋아함 내 개발의 가장 큰 선생은 AI이다. 개념과 개념 간의 간극을 AI가 메꾸어 주었다. 필요에 따라서는 Computer Achitecture level에서까지 질문을 들어가기도 함.  2. 공부하는 자세  강사의 한두마디를 이해하기 위해서 하루를 꼬박 공부한 적이 많음. 의존성주입, 제어역전, 트랜잭션과 같은 키워드를 간단히 언급했을 때, 최소한 이것이 어떤 개념인지 이해하고 넘어가기 위해서 스스로 Depth있는 공부를 진행하고 넘어감. 그렇지 않으면 찝찝해서 넘어가질 못함. 그런 개념들을 그물망처럼 넓혀놓고 필요한 순간 해당 개념을 Indexing해서 더 깊은 공부를 통해서 기술을 사용함. -  index가 왜 zero에서 시작하는 지- tra..
좋은 개발자가 되려면 ( Focus on Fundamental, API : JIT learning) Focus on Core Concepts; Design Principle/CS Knowledge etc,  API : Just in time learning Question : so to be a good programming , it is better to focus on learning principles and design pattern that are applicable all around rather than usage of api. is it commonly recommended practice? Answer :Yes, that is a commonly recommended practice and a highly effective strategy for becoming a proficient ..
백엔드 커리어 로드맵 - 나는 어떤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을까? 면접에서 커리어 목표에 대한 질문은 지원자가 직무와 회사에 대해서 얼마나 관심을 갖고 있는지에 대한 질문이다. 직무와 회사에 대해서 깊이있는 이해가 있어야 단기적으로는 입사후 어떤 성과를 내기 위해서 노력할 것인지 중기적으로 어떤 노력을 통해 어떻게 성장을 할 것인지 답변할 수 있다.   현재는 특정회사에 대한 지원이 정해지지 않은 상태이므로 오롯이 백엔드 개발자 직무 관점에서만 서술하도록 하자. 역량에 대해서는 크게 태도적인 측면과 기술/지식적인 측면으로 나눠볼 수 있을 것이다. 먼저 태도적인 측면에서, 내가 되고자하는 백엔드 개발자는 아래와 같다. 1. 끊임없이 발전하고 배우는 개발자  IT기술은 역사가 길다면 길지만 짧다면 짧다. 상용화가 된 것은 최근의 일이며 기술의 발전속도가 선형이 아니라 Ex..
제로베이스 1개월차 노광고 솔직후기 (제로베이스 측에서 일부학생과 프로모션 차원에서 후기작성을 시키긴하나 본인은 혜택대상이 아니라 광고차원에서 적는 것 아님을 밝힘) 비전공자로서 국비지원과 부트캠프를 고민하다 제로베이스를 수강한지 1개월이 지났다. 결론부터 말하면 국비학원을 취소하고 제로베이스를 선택한 것은 탁월한 선택이었다. 국비과정을 망설이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국비과정을 통해서 많은 수의 개발지망생이 쏟아지는데, 다른 지원자와 어떻게 차별점을 만들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었다. 반면, 제로베이스는 과정이 상상이상으로 방대하고 요구수준이 높아서 개인이 개별적으로 무언가 준비하기 보다는 해당 과정을 따라가기에도 벅차다. 다만, 잘 따라가기만 하면 무언가 성과를 낼 수는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과정의 장단점에 대해서 부연을 해보자면 우선,..
프론트엔드와 백엔드 차이 -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 싶은 이유 1. 백엔드 개발자 (Backend Developer)- 역할과 작업백엔드 개발자는 웹사이트나 애플리케이션의 서버 측면을 담당함. 이들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API, 핵심 애플리케이션 로직 등을 구현하고, 프론트엔드와 데이터를 주고받는 시스템을 만듬. 주로 데이터 관리, 서버 사이드 로직, API 개발 등을 포함하며, 이 모든 것이 사용자에게 직접 보이지는 않지만 사용자의 요청을 처리하고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요한 기능을 함.- 사용하는 기술프로그래밍 언어: Python, Java, Ruby, PHP, Node.js 등프레임워크: Django, Spring, Ruby on Rails, Express.js 등데이터베이스 기술: MySQL, PostgreSQL, MongoDB, Oracle 등 - 적성과 특..
비전공자 개발자 전직준비 (3) 프로젝트 준비하기 프로젝트의 목적  프로젝트 실행은 무엇을 목적으로 하는 것인가를 명심해야한다. 우리는 창업을 위해서, 전에 없던 서비스를 만드려는 것이 아니다. 서비스 구축을 통해서 백엔드 개발자로서 스킬을 보여주고 싶은 것이다. 그러므로, 프로젝트의 방향성은 참신성이 아니라 개발스킬을 잘 보여주는 것이 되어야한다. 차라리, 무난한 주제로 자신이 가고싶은 도메인의 서비스를 만들고, 해당 회사에 갔을 때 당면할 문제들을 미리 경험해보고  스킬을 배워두는 게 좋을 것이다.  지양해야할 방향사업성공 가능성이 높더라도 backend가 딱히 skill이 필요없는 프로젝트타인이 사업의 당위성을 이해할 수 없는 프로젝트용두사미로 실제로는 알맹이가 없는 프로젝트 지향해야할 프로젝트 진행방향프로젝트의 방향성은 가능한 심플하게 세우고 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