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기술/통신 인터페이스, 프로토콜 (5) 썸네일형 리스트형 RabbitMQ 구현 RabbitMQ 핵심 요소요소설명Producer (생산자)메시지를 RabbitMQ에 전송하는 역할 (IP와 Port로 rabbitMQ 식별)Exchange (교환기)메시지를 큐에 전달하는 역할 (Producer가 보낸 routing key로 Queue 맵핑)Queue (큐)메시지가 저장되는 공간 ( Consumer가 ip,port, id, pw, virtualHost로 consumer로 등록)Consumer (소비자)큐에서 메시지를 가져와 처리하는 역할 (Consume역할은 queue의 이름으로 맵핑하여 consume) . Exchange 유형Direct자주사용특정 Routing Key가 일치하는 Queue에만 메시지를 전달 / 특정 로그 레벨 (error, warning, info)을 필터링하여 전-.. 메시지 큐, RabbitMQ, Kafka 개념 메세지란?메시지(Message)는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데이터 단위메세지큐란 ? 'Non-Blocking I/O 기반의 비동기화 미들웨어로, Producer와 Consumer를 분리하고 Queue에 이벤트를 임시 저장하여 비동기 메시징을 구현.' 메시지 큐의 기본 개념Producer(생산자): 메시지를 생성하여 큐에 삽입하는 역할Consumer(소비자): 큐에서 메시지를 꺼내 처리하는 역할Broker(중개자): 메시지를 큐에 저장하고 전달하는 메시징 시스템 (예: RabbitMQ, Kafka, Redis Pub/Sub) 메시지 큐 도입이유메시지 큐를 활용하여 내재된 동기기능을 외부화하고, 비동기 병렬처리를 통해 부하를 분산하며, I/O Block 방지하여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음 동기적으로 다.. AI 영상분석과 websocket + message broker WebSocket에서 "확장성"이란 단순히 보관하는 데이터 양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서버가 얼마나 많은 WebSocket 연결을 동시에 유지하고, 메시지를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가?" 를 의미해.👉 즉, 트래픽 증가에 따라 WebSocket 연결을 어떻게 관리할 것인가에 대한 개념이야.🔹 1. WebSocket에서 "확장성(Scalability)"이 중요한 이유📌 WebSocket은 **"지속적인 연결(Persistent Connection)"**을 유지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서버의 부하가 증가하고, 네트워크 리소스를 더 많이 소모하게 돼.📌 따라서 확장성을 고려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많아질수록 성능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예제: 10명 vs 1만 명이 WebSock.. 실시간 통신 기술의 개발 역사 실시간 통신 기술의 개발 역사 & WebSocket의 등장 배경웹 초창기에는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단순한 방식이었지만, 점점 더 동적인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받아야 할 필요성이 커짐. 이를 해결하기 위해 Polling, Long Polling, SSE 같은 방법이 등장했고, 이후 WebSocket이 실시간 양방향 통신의 최적 솔루션으로 자리잡음.실시간 통신 기술의 역사적 흐름시기기술특징한계1990년대 후반Polling클라이언트가 일정 주기로 서버에 요청네트워크 부하 심함, 실시간성 부족2000년대 초반Long Polling (Comet 기법)서버가 응답을 지연하여 실시간성 개선여전히 HTTP 요청-응답 방식, 서버 부하 큼2000년대 중반 (~2009)SSE (Server-Sent Even.. WebSocket 네트워크의 선택기준✅ 📌 "어떤 데이터인가?" → 데이터 유형에 맞는 최적의 프로토콜을 선택할 수 있음.✅ 📌 "어떤 방향으로 가는가?" → 단방향 vs 양방향에 따라 불필요한 기술 도입을 피할 수 있음.✅ 📌 "속도와 효율성이 중요한가?" → 과도한 리소스 사용을 막고 최적의 성능을 유지할 수 있음.웹소켓의 특징 1. 양방향 통신 (Full-Duplex)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동시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어 실시간 데이터 처리가 가능.채팅, 게임, 주식 시세, 실시간 알림 시스템에 적합.2. 연결 유지 (Persistent Connection)HTTP는 요청마다 새로운 TCP 연결을 생성해야 하지만, 웹소켓은 한 번 연결 후 지속적으로 재사용 가능.기존 HTTP 방식보다 **응답 지연(Latency..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