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개발기술/Java

Java 코딩구현기초 - 연산자/조건반복문

 

 

 문법요소

  • `;` : 세미콜론으로 문장을 구분한다. 문장이 끝나면 세미콜론을 필수로 넣어주어야 한다.
  • 주석 : // : 한줄주석, /* 범위 */`: 여러줄 주석
  • 소괄호 `()`, 중괄호 `{}`: Class와 method의 블록을 지정, 대괄호 `[]`

 

연산자

  • 산술연산자: `+` , `-` , `*` , `/` , `%` (단, int형 끼리의 / 연산 결과는 소수점이 제외된다)
  • 증감(증가 및 감소) 연산자: `++` , `--`
  • 비교연산자: `==` , `!=` , `>` , `<` , `>=` , `<=`,
    • 문자열비교 :문자열이 같은지 비교할 때는 `==` 이 아니라 `.equals()` 메서드를 사용해야 한다.
    • 논리비교
      • `&&` (그리고) : 두 피연산자가 모두 참이면 참을 반환, 둘중 하나라도 거짓이면 거짓을 반환
      • `||` (또는) : 두 피연산자 중 하나라도 참이면 참을 반환, 둘다 거짓이면 거짓을 반환
      • `!` (부정) : 피연산자의 논리적 부정을 반환. 즉, 참이면 거짓을, 거짓이면 참을 반환
  • 대입연산자 : `=` , `+=` , `-=` , `*=` , `/=` , `%=`
  • 삼항 연산자 : `?:` ex) (조건문)? True인경우value : False인경우value
    • 애매하고 가독성이 좋지 않으면 괄호()를 사용해서 연산우선순위를 확실히 해주자. (Ex :`((2 * 2) + (3 * 3)) / (3 + 2)`)
  • a++` : 증감 연산자를 피연산자 뒤에 둘 수 있다. 이것을 뒤에 있다고 해서 후위(Postfix) 증감 연산자라 한다.
  • ++a` : 증감 연산자를 피연산자 앞에 둘 수 있다. 이것을 앞에 있다고 해서 전위(Prefix) 증감 연산자라 한다.
  • 비트연산자
    • AND 연산자 (&) : 두 개의 비트 값이 모두 1인 경우에만 결과 1
    • OR 연산자 (|) :두 개의 비트 값 중 하나라도 1이면 결과 1
    • XOR 연산자 (^) :두 개의 비트 값이 같으면 0, 다르면 1 : NAND와 OR을 AND로 조합하여 만들어낸 비트가산기.
    • 반전 연산자 (~) :비트 값이 0이면 1로, 1이면 0으로 반전
    • << 연산자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 >> 연산자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 >>> 연산자 : 부호비트 상관없이 0으로 채움.
    • Integer.toBinaryString(int) : 이진수 표기법으로 변환하여 String 반환

 

조건문 - if는 연산의 boolean 값의 분기, switch는 연산의 값의 분기에 사용된다

  • if (condition1) {// 조건1이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 else if (condition2) {// 조건1이 거짓이고, 조건2가 참일 때 실행되는 코드} else {// 모든 조건이 거짓일 때 실행되는 코드}
    • *if문다음에실행할명령이하나만있을경우에는 `{}` 중괄호를생략할수있다. `else if` , `else` 도마찬가지이다.
  • switch (조건식) {}
  • case value1: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1일 때 실행되는 코드 break; case value2: // 조건식의 결과 값이 value2일 때 실행되는 코드 break; default; // 조건식의 결과 값이 위의 어떤 값에도 해당하지 않을때 실행하는 코드
  • *if` 문은 비교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지만, `switch` 문은 단순히 값이 같은지만 비교할 수 있다. 만약 `break` 문이 없으면, 일치하는 `case` 이후의 모든 `case` 코드들이 순서대로 실행된다.
  • switch의 조건은 몇가지 제한된 데이터 타입만을 사용할 수 있다. byte, short, char, int, enum, String, Character, Byte, Short, Integer. 또한, switch문은 조건에 입력된 데이터 타입이 case value에도 동일할 것이라고 가정하기때문에 value에는 타입 선언을 하지 않아도 된다.

 

반복문

  • while문 : while (조건식) { // 코드 }

*조건식이 참이면 코드 블럭을 실행한다. 이후에 코드 블럭이 끝나면 다시 조건식 검사로 돌아가서 조건식을 검사 한다.(무한 반복)

* while문의 조건 식 내에 코드를 입력하여 간결화할 수 있다. ex ) while(input = scanner.nextInt()) != -1) ; -1 이 입력되면 while loop 종료

  • do { // 코드 } while (조건식);
    • *do-while` 문은 `while` 문과 비슷하지만, 조건에 상관없이 무조건 한 번은 코드를 실행한다. '
    • break : break는 반복문을 즉시 종료하고 나간다.
    • continue : continue는 반복문의 나머지 부분을 건너뛰고 다음 반복으로 진행하는 데 사용된다.
  • for문 : for (1.초기식; 2.조건식; 4.증감식) {// 3.코드}
    • 1. 초기식이 처음 한번 실행된다.
    • 2. 조건식을 검증한다. 참이면 코드를 실행하고, 거짓이면 for문을 빠져나간다.
    • 3. 코드를 실행한다.
    • 4. 코드가 종료되면 증감식을 실행한다. 주로 초기식에 넣은 반복 횟수와 관련된 변수의 값을 증가할 때 사용한다. 다시 2. 조건식 부터 시작한다. (무한 반복)

* for문에서 초기식, 조건식, 증감식은 선택이다. 다음과 같이 모두 생략해도 된다.for문은 조건이 없으면 무한 반복한다.

  • 향상된 for문 : for (int number : numbers) {code}
    • 향상된 for문에는 증가하는 인덱스 값이 감추어져 있다. 따라서 `int i` 와 같은 증가하는 인덱스 값을 직접 사용해야 하
    • 는 경우에는 향상된 for문을 사용하기 불편하다.

 

지역변수와 스코프

  • 변수는 선언한 위치에 따라 지역 변수, 멤버 변수(클래스 변수, 인스턴스 변수)와 같이 분류된다.지역 변수는 본인의 코드 블록 안에서만 생존한다. 그리고 자신의 코드 블록 안에서는 얼마든지 접근할 수 있 다. 하지만 자신의 코드 블록을 벗어나면 제거되기 때문에 접근할 수 없다. **이렇게 변수의 접근 가능한 범위를 스코프(Scope)라 한다.**
  • 지역변수를 사용영역에 맞도록 선언하는 것의 중요성
    • 1. 비효율적인 메모리 사용**: `temp` 는 `if` 코드 블록에서만 필요하지만, `main()` 코드 블록이 종료될 때 까지 메모리 에 유지된다.
    • 2. **코드 복잡성 증가**: 좋은 코드는 군더더기 없는 단순한 코드이다. 만약 `if` 코드블록안에 `temp` 를선언했다면 `if` 가끝나고나면 `temp` 를전혀생각하지 않아도된다.
  • java 내에서는 variable의 유효성은 단순히 {} parenthesis 내이므로 for 이나 if statement도 별도의 local scope로 인정된다.